본문 바로가기
  • 가상화폐에 대한 정보를 다룹니다.
Hot Issue

SKT·KT·LG유플 해킹 연속 발생…개인 정보 보호법과 대응 총정리

by 시사저널리스트 2025. 10. 23.
반응형

 

 

SKT·KT·LG유플 해킹 연속 발생… 개인 정보 보호법과 대응 총정리

SKT·KT·LG유플 해킹 연속 발생 관련 경고와 대응법을 나타낸 인포그래픽
해커 일러스트, 경고 아이콘, 자물쇠 파일 이미지로 구성된 통신사 해킹 경고 이미지

통신 3사 해킹 개요

2025년 한 해 동안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국내 주요 통신사들이 연달아 해킹 피해를 입었습니다. 각사 모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피해를 신고하며, 통신서비스 보안에 대한 불안이 커지고 있습니다.

  • SK텔레콤: 28개 서버 악성코드 감염, 유심 정보 유출
  • KT: 불법 기지국을 통한 정보 탈취 및 소액결제 피해
  • LG유플러스: 계정 관리 서버 해킹 의혹, 내부 정보 대량 유출

이용자 피해 사례 요약

세 통신사의 보안 사고로 인해 다음과 같은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 불법 소액결제 피해 (수백 명 규모)
  • 유심 정보 탈취로 2차 금융사기 위험 증가
  • 개인 정보 유출에 따른 스팸 및 피싱 피해 증가

개인정보 보호법상 기업의 의무

현행법상 개인정보 유출을 인지한 기업은 24시간 이내에 당국에 신고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번 통신 3사의 경우 모두 법적 신고 기한을 초과하거나 늑장 대응으로 지적받고 있습니다.

관련 법령:

  • 개인정보 보호법 제34조(개인정보 유출 시 통지 및 신고)
  • 정보통신망법 제12조(보안조치 의무)

일반 이용자를 위한 대응 방법

개인이 할 수 있는 보안 대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이상 소액결제 내역 주기적 확인
  2. 이동통신사 고객센터 통한 유심 변경 및 확인
  3. 통신사 앱 또는 콜센터에서 소액결제 차단 설정
  4. 이중 인증(2FA) 설정 필수
  5. 개인정보 유출 여부 확인: KISA “개인정보 유출 확인 서비스” 활용

요약 정리

  • 통신 3사 모두 해킹 피해 발생 → 보안 우려 확산
  • 이용자 소액결제, 유심 정보 유출 피해 증가
  • 기업의 법적 신고 의무 미준수로 비판
  • 이용자들은 유심 보안 및 결제 차단 조치 필요

자주 묻는 질문 (FAQ)

  • Q. 유심 정보가 유출되면 어떤 피해가 생기나요?
    A. 본인 인증이 가능한 정보이기 때문에, 스미싱·금융사기에 악용될 수 있습니다.
  • Q. 해킹 당했는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A. 통신사 고객센터 또는 마이페이지에서 이상 거래 내역을 확인하세요.
  • Q. 소액결제 차단은 어떻게 하나요?
    A. 각 통신사 앱에서 '소액결제 차단' 메뉴를 통해 간편히 설정할 수 있습니다.

📢 당신의 개인정보는 소중합니다. 지금 당장 소액결제 차단 및 유심 보안 상태를 확인해 보세요. 통신사 고객센터나 앱에서 간편하게 설정 가능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