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트래블룰 강화, 국내 코인 유출 막힌다?
2025년부터 가상자산 거래소에 대한 트래블룰(Travel Rule)이 대폭 강화됩니다. 그에 따라 해외 송금, 코인 출금, 지갑 전송 등 거래 흐름이 제한될 수 있으며, 일부 자산은 실질적으로 국내 거래소 폐쇄 생태계 안에 갇힐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트래블룰이란 무엇인지, 2025년 어떻게 달라지는지, 그리고 투자자들이 지금 대비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정리해 드립니다.
트래블룰이란 무엇인가?
트래블룰은 가상자산 송·수신 시, 송금인과 수취인의 신원정보를 수집·전달해야 한다는 금융 규제입니다. 기존 금융권의 FATF(자금세탁방지 기준)를 가상자산 업권에도 적용한 것입니다.
- 📌 국내에선 2022년 시행 → 2025년부터는 지갑 인증, 상대방 검증, 해외거래소 등록 필수
- 📌 VASP(가상자산사업자) 간 송금에만 허용, 개인 지갑 전송은 제한될 수 있음
2025년 강화되는 주요 내용
- 해외 거래소 출금 시 사전 등록제 의무화 – 코인원, 업비트, 빗썸 모두 해당
- 비인가 지갑 주소 전송 차단 기능 강화 – 특히 메타마스크 등 직접 지갑 불가 가능성 확대
- 실명 연동 지갑만 허용 – 오너십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 송금 불가
최근 일부 거래소는 "해외 송금 반려", "자동 반환 처리" 등을 공지하고 있으며, 미국, 싱가포르, 홍콩 등 일부 거래소는 VASP 등록 여부에 따라 완전 차단될 수 있습니다.
투자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대응법
🔴 해외 코인 이동이 사실상 막히는 구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 루나, XRP 등 특정 종목은 특정 거래소 전용으로 갇힐 가능성
- ⛔ 국내 거래소 간에도 지갑 연동 실패 → 송금 실패 사례 증가
✅ 대응 전략:
- ✅ 미리 자주 사용하는 해외 거래소를 신청 등록해 두기
- ✅ 자체 지갑(하드월렛 포함)은 KYC 연동 가능 여부 확인
- ✅ 거래소별 트래블룰 연동 시스템(코드명, 등록방식) 숙지 필수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자주 묻는 질문
Q. 트래블룰 적용 후 메타마스크로 전송이 불가능해지나요?
2025년부터는 실명 확인이 불가능한 지갑으로의 출금은 대부분 제한될 예정입니다.
Q. 해외 거래소로 송금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VASP 등록이 된 거래소만 사전 등록 후 송금 가능합니다. 미등록 거래소는 자동 반환될 수 있습니다.
📌 요약정리
- 2025년부터 트래블룰 적용이 강화되어 해외 송금 및 외부 지갑 출금 제한 확대
- 업비트, 빗썸, 코인원 등 주요 거래소는 실명확인 주소만 허용 예정
- 투자자들은 사전 등록, VASP 확인, 출금 경로 점검이 필수
👉 크립토 헌터에서 최신 코인 규제 흐름 더 보기
- 2025년부터 트래블룰 적용이 강화되어 해외 송금 및 외부 지갑 출금 제한 확대
- 업비트, 빗썸, 코인원 등 주요 거래소는 실명확인 주소만 허용 예정
- 투자자들은 사전 등록, VASP 확인, 출금 경로 점검이 필수
👉 크립토 헌터에서 최신 코인 규제 흐름 더 보기
🔒 당신의 코인, 아직 안전하게 옮길 수 있나요?
👉 지금 트래블룰 대응법을 점검해보세요
👉 지금 트래블룰 대응법을 점검해보세요
반응형
'가상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관 매집설, 진짜일까? (0) | 2025.04.23 |
---|---|
거래소 코인이 급등하는 진짜 이유는? (0) | 2025.04.23 |
스테이블코인 규제 초읽기 – USDT, USDC, KSD 전망 (0) | 2025.04.22 |
2025년 크립토 투자자들이 꼭 알아야 할 세 가지 규제 변화 (0) | 2025.04.17 |
리플이 노리는 3가지 변화! (0)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