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가상화폐에 대한 정보를 다룹니다.
Hot Issue

2차전지 밸류체인 분석과 대표적인 기업 분석

by 시사저널리스트 2025. 3. 18.
반응형

전기차, 신재생에너지, 스마트 기기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2차 전지(배터리) 산업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2차 전지는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 수 있어 다양한 산업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이 글에서는 2차전지 산업의 밸류체인을 단계별로 분석하고, 각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춘 대표적인 기업들과 그들의 핵심 역량을 살펴본다.

2차전지 밸류체인 이미지
사진=2차전지 밸류체인 이미지

 

2차전지 밸류체인 개요

2차 전지 산업은 원재료부터 최종 제품 및 재활용까지 여러 단계를 거친다. 주요 단계는 다음과 같다.

  • 원재료 및 소재: 배터리의 기본 원료(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등)와 이를 가공한 양극재, 음극재, 전해질, 분리막 등을 포함
  • 배터리 셀 제조: 원재료를 조합하여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셀을 생산
  • 배터리 모듈 및 팩 제조: 배터리 셀을 조립하여 전기차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에 사용되는 배터리 팩 생산
  • 완성품 제조 및 활용: 전기차, ESS, 스마트 기기 등에서 배터리를 활용
  • 배터리 재활용: 폐배터리에서 원자재를 회수하여 다시 활용

각 단계에는 전문 기업들이 존재하며, 이들의 경쟁력과 기술력이 산업 성장을 이끌고 있다.

 

원재료 및 소재

2차 전지의 성능과 가격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원재료다.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의 원재료를 기반으로 양극재, 음극재, 전해질, 분리막과 같은 핵심 소재가 생산된다.

   대표 기업 및 핵심 역량

  • 에코프로비엠: 하이니켈 양극재 기술을 보유한 기업으로, 테슬라, 삼성 SDI 등과 협력
  • 포스코홀딩스: 리튬, 니켈 등 원자재 공급망을 확보하고 있으며, 배터리 소재 자회사 포스코케미컬을 통해 양극재·음극재 사업 확장
  • 엘앤에프: 고출력·고효율 배터리에 적합한 하이니켈 양극재 개발
  •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 배터리 안전성을 높이는 고품질 분리막 기술 보유
  • 솔브레인: 배터리 수명과 성능을 결정하는 고순도 전해질을 생산

 

배터리 셀 제조

배터리 셀은 2차전지의 핵심 부품으로, 전력을 저장하고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한국 기업들은 글로벌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며, 기술력과 생산 능력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대표 기업 및 핵심 역량

  • LG에너지설루션: 미국, 유럽, 중국 등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를 보유하며, GM, 폭스바겐 등과 협력
  • 삼성 SDI: 에너지 밀도가 높은 프리미엄 전기차 배터리를 생산하며, BMW, 리비안과 협업
  • SK온: 니켈 비중이 높은 배터리를 개발하여 주행거리와 성능을 극대화, 포드 및 현대차와 협력

 

배터리 모듈 및 팩 제조

배터리 셀을 조립하여 배터리 모듈 및 팩을 제조하는 과정에서는 안정성과 효율성이 핵심 요소다.

   대표 기업 및 핵심 역량

  • LG에너지설루션: GM과 합작법인 ‘얼티엄셀즈’를 설립하여 북미 배터리 시장 확대
  • 삼성 SDI: 배터리 팩 설계 및 안전성 강화 기술 보유
  • SK온: 배터리 팩의 경량화 및 고출력 설계로 성능 최적화

 

완성품 제조 및 활용

배터리는 전기차, ESS, 스마트 기기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되며, 전기차 시장의 확대로 인해 2차 전지의 활용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대표 기업 및 핵심 역량

  • 현대차·기아: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 SDI와 협력하여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 구축
  • 테슬라: 자체 배터리 기술 개발과 외부 공급업체 협력을 통해 효율 최적화
  • BYD(중국): 배터리 일체형 전기차 제조 방식으로 원가 절감 및 생산 효율 극대화
  • CATL(중국): 글로벌 배터리 시장 점유율 1위, 안정적인 공급망과 생산 능력 보유
  • 한화설루션: 신재생에너지와 연계한 ESS(에너지저장장치) 기술 개발

 

배터리 재활용(리사이클링)

배터리는 일정 기간 사용 후 성능이 저하되며, 이를 재활용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배터리 재활용은 환경 보호뿐만 아니라 원자재 확보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대표 기업 및 핵심 역량

  • 포스코 HY클린메탈: 폐배터리에서 리튬, 니켈, 코발트 등을 추출하여 재활용
  • 성일하이텍: 유럽 및 아시아 지역으로 배터리 재활용 사업 확장
  • 에코프로 CNG: 고순도 원료 추출 기술을 개발하여 배터리 재활용 확대

 

결론

2차 전지 산업은 원재료부터 최종 제품 및 재활용까지 연결되는 복합적인 밸류체인을 형성하고 있다. 한국 기업들은 소재, 배터리 셀, 모듈 및 팩, 완성품, 재활용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강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향후 2차전지 시장은 전기차 보급 확대, 신재생에너지 확산과 함께 지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고성능 배터리 개발, 원자재 확보, 배터리 재활용 기술 발전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반응형